본문 바로가기

시사

클린스만 경질?

클린스만 감독 경질: 심층 분석 및 향후 전망

클린스만 감독 경질 배경 및 주요 논점

2024년 2월 15일, 대한축구협회 전력강화위원회는 클린스만 감독의 경질을 공식 결정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 이후 1년 만의 일입니다.

경질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유가 있습니다.

  • 2023년 AFC 아시안컵 4강 탈락:
    • 아시안컵 8강에서 호주를 꺾고 4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 사우디아라비아와의 4강전에서 0-1로 패배하며 예상보다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 대표팀 내분 및 불화:
    • 아시안컵 4강 탈락 후, 손흥민과 이강인 선수 간의 몸싸움 사건이 발생하며
    • 대표팀 내분 및 불화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 클린스만 감독은 이에 대한 책임을 선수들에게 돌리며
    •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아 비판을 받았습니다.
  • 전술 부재 및 지도력 문제:
    • 아시안컵 기간 동안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 부재 및 지도력 문제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 특히, 뚜렷한 전술적 변화 없이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의존하는 경기 운영 방식은
    • 팬들의 불만을 샀습니다.
  • 미국 거주 및 재택근무:
    • 클린스만 감독은 미국에 거주하며 대표팀을 지휘하는 방식을 유지했습니다.
    • 이는 팬들과 축구계 관계자들의 불만을 샀고,
    • 재택근무 방식은 지도력 부재를 더욱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경질에 대한 다양한 의견

클린스만 감독의 경질에 대한 반응은 엇갈립니다. 일부 팬들은

  • 부진한 성적과 대표팀 내분 문제에 대한 책임을 물어 경질을 지지하는 입장입니다.
  • 반면, 클린스만 감독의 짧은 임기 동안 성과를 평가하기에는 어렵다는 입장과
  • 후임 감독 선임 문제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대한축구협회는 향후 새 감독 선임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 후임 감독의 국적, 전술 스타일, 선수들과의 소통 능력 등이
  • 주요 고려 사항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클린스만 감독 경질은 한국 축구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 향후 새 감독 아래 한국 축구대표팀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구글 gemini활용

 

※ 내 생각

한국 사회에서 협회의 문제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히딩크감독이 2002월드컵 때 축구협회의 입김이 너무 강해 전권을 맡기지 않으면 감독을 하지않겠다고 하여 전권을 맡은 후 월드컵 4강이라는 성적으로 온 국민을 행복하게 했으나 현재 클린스만의 아시안컵 4강 부진(?)에 대해서는 협회가 무엇을 한것이냐는 발언이 나온다.

정몽규 축구협회 회장이 감독을 컨트롤(?)하지 못했고 감독선임 자체가 잘못된 결정이라고 욕하는 유튜브나 기사가 넘쳐난다. 무엇이 문제라서 이런 이야기가 나올까 벤투감독은 월드컵 직전까지 내내 욕을 먹다 월드컵 16강 성적으로 훌룡한 명장이라는 말을 듣고 물러났는데, 클린스만은 무엇이 문제일까?

 

벤투는 색깔이 명확했다 빌드업 축구! 그 빌드업 축구가 처음에는 많은 욕을 먹었지만 결국엔 성적이 나왔기에 어떤 사람들은 벤투를 국대감독으로 그리워하기까지 한다. 클린스만은 어떠한가 그를 표현하는 많은 말들중에 가장 많은 표현은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보기에 무언가 전략이나 색이 있어야 하는데 클린스만은 무색무취(?)한 전략으로 약간의 강팀만 만나면 선수들이 어떻게 해야할지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내내 보게했다. 그런 클린스만을 축협은 왜 뽑았을까?

한국이란 나라에서 국대감독에게 줄수있는 금액이 어느정도 한정적이긴 하겠지만 전술이 부재한 감독을 왜 선임했을까?

이름값? 아니면 축협회장과의 친분? ??? 우리는 클린스만을 왜 선임했는지 알수 없다. 그래서 궁금하고 화가 난다.

그를 왜 선임했고 그가 어떤 색으로 축구국대를 움직일것인지 축협에서 사람들에게 이해할수 있게 설명해야 하지만, 그리고 문제가 있다면 그걸 국민에게 이해 시켜야 했지만 그런 시스템이 축협엔 없었다.

소읽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지만, 다음 감독을 선임할때 국민들에게 감독선임에 대해 이해를 시킬수있는 프로세스(?)를 가동하며 감독을 선임하길 바란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