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패권전쟁 미중 누가 승리할까?

suilssi 2024. 2. 18. 14:31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에서 누가 승리할 것으로 보이시나요? 

지금까지 진행되는 상황으로 보면 미국이 6:4 정도로 앞서 있는것으로 보이는 데요.

현재는 알수없는 미중 패권전쟁의 승자를 역사를 비교해보며 승자를 상상해 보는건 어떨까요?

역사상 패권전쟁에서 누가 승리했고 승리한 이유를 짧게 리포팅해보겠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15907.html

 

글로벌 패권전쟁과 한국의 선택

홍성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만2천원 “어느 맑은 여름날 연못 속에 붕어 두 마리 서로 싸워 한 마리가 물 위에 떠오르고 여린 살이 썩어들어가 물도 따라 썩어들어가 연못 속에선 아무것도 살

www.hani.co.kr

역사상 패권 전쟁

1.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원전 431년~404년)

1.1. 스파르타 (펠로폰네소스 전쟁) 승리이유

  • 강력한 육상 군대: 뛰어난 훈련 및 전략으로 아테네의 해상력을 상쇄
  • 페르시아 제국의 지원: 재정 및 군사 지원 확보
  • 아테네의 전략적 실수: 과도한 공격 전략, 스파르타의 육상 군대에 대한 대비 부족
  • 뛰어난 지도력: 리산드로스 등 뛰어난 지도자의 등장

1. 2.아테네 (펠로폰네소스 전쟁) 패배이유

  • 경제력 약화: 장기간 전쟁으로 인한 재정 악화, 무역 감소, 국민들의 생활 수준 저하
  • 군사적 실수: 과도한 공격 전략, 해상력 약화, 스파르타의 육상 군대에 대한 대비 부족
  • 외교적 실패: 동맹국의 이탈, 페르시아 제국의 지원 확보 실패

 

2. 푸니크 전쟁 (기원전 264년~146년)

2.1. 로마 공화국 (푸니크 전쟁) 승리이유

  • 뛰어난 군사 지도력: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등 뛰어난 지도자의 등장
  • 강력한 해상 군대: 카르타고의 해상력 우위를 깨는 전략 개발
  • 카르타고의 내부 분열: 귀족과 평민 사이의 갈등으로 인한 전쟁 수행 어려움

2. 2.카르타고 (푸니크 전쟁) 패배이유

  • 군사적 실수: 해상력 우위 유지 실패, 로마의 육상 군대에 대한 대비 부족, 장기간 전쟁으로 인한 군사 피로
  • 지도력 부족: 전쟁 후반기에 유능한 지도자 부족, 내부 분열

 

3. 30년 전쟁 (1618년~1648년)

3.1. 프랑스 (30년 전쟁) 승리이유

  • 강력한 군사력: 유럽 최강의 군대 보유
  • 뛰어난 외교: 독일 제국의 분열 조장, 스웨덴 등 동맹국 확보
  • 신성 로마 제국의 약화: 경제적 어려움, 내부 분열

3.2. 신성 로마 제국 (30년 전쟁) 패배이유

  • 경제력 약화: 장기간 전쟁으로 인한 재정 악화, 영토 손실, 국민들의 생활 수준 저하
  • 군사적 분열: 제국의 통합된 군대 부족, 각 국가의 군사력 약화
  • 외교적 실패: 프랑스의 견제 실패, 동맹국의 이탈

4. 미국 독립 전쟁 (1775년~1783년)

4.1. 미국 (미국 독립 전쟁)

  • 프랑스의 지원: 재정 및 군사 지원 확보
  • 영국의 전략적 실수: 식민지의 지형 및 기후에 대한 이해 부족, 게릴라 전쟁에 대한 대비 부족
  • 높은 국민 의지: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로 결속된 국민

4.2. 영국 (미국 독립 전쟁) 패배이유

  • 경제적 부담: 장기간 전쟁으로 인한 재정 악화, 식민지에 대한 과도한 세금 부과
  • 군사적 실수: 식민지의 지형 및 기후에 대한 이해 부족, 게릴라 전쟁에 대한 대비 부족
  • 국민 의지 부족: 식민지 독립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 부족

 

5. 2차 세계 대전 (1939년~1945년)

5.1. 연합국 (2차 세계 대전) 승리이유

  • 강력한 산업력: 추축국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의 경제력보다 월등히 우월
  • 뛰어난 군사 지도력: 아이젠하워, 몽고메리 등 뛰어난 지도자의 등장
  • 추축국의 전략적 실수: 초기 공격 성공 이후 잘못된 전략 선택
  • 핵무기 개발: 전쟁의 승패를 결정짓는 강력한 무기 확보

5.2.추축국  (2차 세계 대전)  패배이유

5.2.1. 초기 공격 이후의 잘못된 전략 선택

  • 독일은 초기 공격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영국을 제압하는 데 실패
  • 일본은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을 전쟁에 끌어들였지만, 장기전을 감당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음

5.2.2. 동맹국 간의 협력 부족

  • 독일, 이탈리아, 일본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전략적인 협력이 부족
  • 이탈리아는 전쟁 초반부터 패배 가능성이 높았고, 독일에게 큰 부담

5.2.3. 과도한 자원 확보에 대한 집착:

  • 독일은 소련을 공격하여 자원 확보를 목표로 했지만, 소련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
  • 일본은 동남아시아를 침략하여 자원 확보를 목표로 했지만, 미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자원 공급이 차단

5.2.4. 인종차별 정책

  • 독일은 나치 정책을 통해 유대인을 학살했고, 이는 국제 사회의 강력한 반발 불러일으킴
  • 일본은 아시아인을 열등하게 여겼고, 이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을 강화

5.2.5. 핵무기 개발 실패

  • 추축국은 핵무기 개발에 실패했고, 연합국은 핵무기 사용으로 전쟁의 승패를 결정짓는 데 성공

 

6. 냉전 (1947년~1991년)

6.1. 미국 (냉전) 승리이유

  • 강력한 경제력: 세계 최강의 경제력으로 소련을 앞서
  • 기술력 우위: 핵무기, 우주 개발 등 첨단 기술 개발에서 앞서
  • 소련의 경제적 붕괴: 경제 개혁 실패, 내부 분열

6.2. 소련 (냉전) 패배이유

  • 경제적 경쟁력 부족: 미국과의 경제 경쟁에서 패배, 경제 성장 둔화, 국민들의 생활 수준 저하
  • 기술력 부족: 첨단 기술 개발에서 미국에 뒤처짐, 군사력 약화
  • 지도력 부족: 후기 지도자들의 개혁 실패, 내부 분열

 

7. 미중 무역 전쟁 (2018년~현재)

  • 현재 진행 중
  • 승자: 아직 결정되지 않음
  • 경제적 경쟁력 : 미국은 현재 전세계 유통화폐인 달러의 발권국 지위를 이용 인플레를 어느정도 용인하면서 자국 미래산업 성장과 중국 미래산업 발전을 막기위한 투트랙 전략을 이용중. 중국은 미국의 디리스킹 전략으로 GDP성장이 축소되고 있으며 부동산등의 문제들을 구조조정으로 디플레상황
  • 기술력 부족: 첨단 기술의 대부분의 원천기술을 갖고있는 미국이 앞서있으나 중국이 맹렬히 추격중 최근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보이는 반도체에서 5나노 기술로 만든제품을 만들었음
  • 지도력 : 선거로 대통령을 뽑는 미국은 4년 중임제. 시진핑은 공산당법을 개정하여 영구집권기반을 만듬. 현재의 성장률만 보자면 바이든이 더 잘하고 있는걸로 보이나 부채가 증가하는 것을 보면 과연 이기고 있는 것인지 판단할수 없음 24년11월에 미국선거전후로 이번전쟁의 방향이 바뀔것으로 보고있음

 

패권 전쟁 승리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는 점:

  • 패권 전쟁은 단순히 군사력의 승패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 경제력, 기술력, 외교력, 국민 의지 등 다양한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패권 전쟁은 장기간 지속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세계 질서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투자 시 주의 사항:

패권 전쟁은 국제 정치 및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시하고 투자 전략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투자 결정은 투자자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구글GEMINI활용